*캐니언
Q) 팀원들이 캐니언선수에게 아직도 북금곰이라고 부르나요?
A) 그냥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제파
Q) 3:0으로 DRX를 이길 예상을 했는지, 4강에서는 누구와 붙고 싶은지?
A) 지는 쪽에서 진영을 선택하는 거라 3:0은 생각 못했다. 한판 정도는 질 것이라 생각했는데 쉽게 이겼다. 4강에서는 두 팀 다 스토리가 있다. (젠지 - 한국팀이 결승 무조건 감. G2 - 작년의 복수) 상황으로는 젠지가 올라올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G2가 올라와서 복수를 하고 싶다.
*쇼메이커
Q) 팀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했는데, 다른 라인과 협동적으로 게임하는게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팀에서 어느 선수가 중점적으로 콜을 하는가?
A) 5명 다 같이 하는 것 같고, 그나마 많이 하는 선수를 꼽자면 건희형(베릴)을 뽑겠다.
*쇼메이커
Q) 만약에 4강에서 G2를 만나게 된다면 작년 G2에게 패배했던 경험이 어떤 도움이 될 것 같은지, 어떤 변화가 필요할 것 같은지
A) 저희가 작년이랑은 많이 달라졌다고 생각한다. 4강에서 G2를 만나도 딱히 그때의 패배로부터 배웠다기보다 저희가 엄청 성장했기 때문에 이길 수 있을 것 같다.
*고스트
Q) 롤드컵 메타가 기능성 원딜 위주인데 오늘 경기에서 티어가 높지 않은 아펠을 선택한 이유는? 팀내에서 어떤 포지션을 맡고 있는지
A) 아펠리오스를 선택한 이유는 적팀과 우리팀 조합을 봤을 때 아펠이 가장 좋아보여서 했다. 저희팀은 역할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상황에서 필요한 픽이나 플레이를 다 해야한다고 생각해서 역할은 없고 모든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준비하고있다.
*너구리
Q) 4강에서 만나보고 싶은 팀은 어디인지, 롤드컵 최종 성적을 예상해본다면?
A) 개인적으로는 G2를 만나고 싶다, 작년의 복수도 있고. 최종 성적은 아직 잘 모르겠다.
*제파
Q) 담원은 맡았던 여러 팀들 중 하나인데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담원게이밍이 가진 특색이나 강팀으로 만드는 특색은 무엇인지, 코칭하는 스타일은 어떤지.
A) 선수들이 다재다능하고 잘해서 어떤 픽이라도 연습한다면 픽에 대한 플레이든 운영 방식이든 소화할 수 있다. 그런 쪽으로 선수들이 생각하면서 게임하고 이길 수 있도록 잘 가르치고 있는 것 같다.
*코치진
Q) 1경기는 맵 운영이 주요했다면 2경기는 한타력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상대를 잘 안다는 점이 영향을 끼쳤는지, 영향이 있었다면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
A) 첫경기는 사실 모든 라인이 먼저 움직일 수 있는 픽 자체가 게임 난이도에 있어서 유리했다. 두번째 경기는 레드 사이드에서 밴픽적으로 잘 짜기 어려웠는데, 상대를 잘 안다기 보다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아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조합을 주어줘도 그 주어진 조합에 맞게 잘 플레이하는 것이 더 컸다. 상대방을 더 잘 안다는 것은 별로 주요하지 않았다.
*쇼메이커
Q) 세계 최고의 미드에 대한 이야기가 활발한데, 나이트나 쵸비보다 우세하다고 생각하는지
A) 아직 잘 모르겠고 우승하는 팀의 미드가 제일 잘한다고 생각해서 우승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코치진
Q) 많은 사람들이 담원게이밍이 강력한 우승 후보라고 거론하고있다. 이번 승리 이후로 우승할 자신감이 어느정도인지
A) 사실 제가 선수들에게 가장 많이 하는 말이 (명언책을 많이 읽어서), 다른 팀과 비교하기보다 어제의 나와 비교하라고 한다. 그게 베이스로 깔려서 선수단 전체가 그렇게 한다. 방심만 하지 않는다면 마음가짐을 유지하는데에 아주 좋다고 생각한다. 선수들 인터뷰에서도 그런게 투영된 것 같다. 감독 코치도 같은 마음. 준비한 것도 많고 섬머에도 좋은 퍼포먼스를 보였고, 어디를 이긴다보다도 우리가 할 것을 해서 단단하게 이긴다고 생각한다.
*너구리
Q) 기흉수술 이후 출국해서 자가격리 기간을 겪었는데 전체적인 컨디션 문제는 없었는지
A) 큰 문제 없었다.
*쇼메이커
Q) 3경기 쵸비선수의 벨코즈를 보고 무슨 생각을 했는지
A) 벨코즈라는 픽이 옛날부터 메이지 상대로 많이 나왔었기 때문에 많이 당황하진 않았고, 게다가 그리핀 시절에 벨코즈도 사용한 전적이 있어서, 옛날부터 하고 있는 걸 알고 있었기에 딱히 당황하지는 않았다.
*너구리
Q) 3세트 초반 블라디미르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두 챔피언(오른,블라디미르)의 구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A) 경기 때 블라디가 수확의 낫을 사기도 했고 1레벨에 건희형(베릴)과 블라디미르의 점멸을 빼서 이득을 보고 시작했다. 원래 초반 구도에서는 블라디가 오른을 잡을 딜 까지는 나오지 않아서 오른이 좀 더 유리한 것 같다. 서로 죽게 되면서 제가 결국 손해를 본 장면이 나와서 아쉽다.
*쇼메이커
Q) 지난해 월즈때보다 훨씬 더 견고하고 다재다능한 플레이를 하는 것 같다. 팀 담원게이밍이 아닌 쇼메이커 개인만 놓고 봤을 때, 지난해보다 어떤 점에서 성장했다고 생각하는가? 또 현재 메타에서 미드라이너의 최고의 덕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A) 작년이랑 올해랑 다루는 챔프도 다르다. 작년에 도인비 선수의 우승과 캡스선수에게 졌을 때 느낀건데, 작년에는 '내가 잘해서 내가 세진다 그래서 내가 다 죽인다.' 이렇게 생각햇는데, 이제는 '내가 잘해서 내가 세지면 팀을 도와줘서 팀이 세지면 적을 이긴다.' 로 바꼈다. 캡스선수와 도인비 선수에게 영향을 많이 받아서 스펠체크에도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제 생각에 팀플레이에 능한 미드가 좋다고 생각한다. 팀을 위해 선푸쉬하고 돌아다니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제파
Q) 담원이 블루진영에서 20연승 이상 기록중인데 알고있는지, 그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는지
A) 저도 커뮤니티를 자주 보기 때문에 저희팀의 블루 넥서스가 msc이후로 깨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현재의 밴픽 구도로 봤을 때 블루팀에서는 1픽에 먹을 것을 정하고 그 중심으로 조합을 짤 수 있고, 그 부분이 대회에서 더 맞춰야하고 블루팀에서의 이점이 더 큰 것 같다. 저희는 챔프폭의 숙련도 면에서 좋은 픽들에 대한 숙련도가 높아서 모든 픽들을 잘 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L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식의 1년동안의 변화 (0) | 2020.10.16 |
---|---|
10/15 pbe 밸런스 패치 내용 (0) | 2020.10.16 |
강퀴의 DRX VS DWG 경기요약 (0) | 2020.10.16 |
DRX의 롤드컵 조추첨 반은 ㅋㅋㅋㅋㅋㅋㅋㅋ (0) | 2020.10.15 |
강퀴의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예측 (0) | 2020.10.15 |